| 
 
INI 파일 함수일겁니다.
 
 INI클래스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저장됩니다.
 
 
 [Title]
 SubTitle1 = asd
 SubTitle2 = asd
 SubTitle3 = asd
 SubTitle4 = asd
 
 
 소스 상단에 헤더 추가
 #include "IniFiles.hpp"
 
 실제 사용부분
 TIniFile* ini = new TIniFile("파일 이름");
 
 ini->WriteString("Title", "subTitle1", "asd");
 ini->WriteString("Title", "subTitle2", "asd");
 ini->WriteString("Title", "subTitle3", "asd");
 ini->WriteString("Title", "subTitle4", "asd");
 
 delete ini;
 
 
 
 
 
 
 한시운 님이 쓰신 글 :
 : 대충 ???함수를 써서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저장을 하면
 : 
 : ???("Title", "subTitle1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2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3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4", "asd");
 : 
 :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저장되있는 함수인가를 쓴 기억이 납니다만... 구체적으로 기억이 안나 질문을 올립니다.(백업파일은 날려먹었....)
 : 
 : [Title]
 : SubTitle1: asd
 : SubTitle2: asd
 : SubTitle3: asd
 : SubTitle4: asd
 : 
 : 로드할때도 비슷한 방식으로 하지만 "asd"는 일종의 디폴트값으로 불러옵니다.
 : ???("Title", "SubTitle1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2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3", "asd");
 : ???("Title", "SubTitle4", "asd");
 : 
 : 이개 라인을 찾아가는개 아니라 키워드를 통해 찾아들어가는 방식이라 유용하게 썻었는대
 : 백업파일이 날라가고 기억이 안나내요;;
 : 이런 식으로 쓸수 있는 함수가 뭐였죠????
 
    |